진 행 | 김진솔 시인 / 서울대학교 현대문학 석사 과정 |
일 정 | 2025. 4. 23(수) ~ 2025. 5. 21(수) |
시 간 | 매주 수요일 저녁 7시30분 ~ 9시30분 (5회) |
장 소 | 비대면 온라인 (Zoom 온라인 Live 진행), 별도 안내 |
인 원 | 최대 15명 |
☑ 프로그램 소개
초보 시 쓰기·합평 클래스, 시시시작(詩詩詩作) 2기
✍️ 시 쓰기, 시 쓰는 법 기초를 배우고 싶다면, 함께해 보세요.
👉 시 낭독, 시 합평을 통해, 함께 시적 감각을 나눕니다.
👉 시 쓰기와 합평을 병행합니다. 강의 진행에 클래스보드를 활용합니다.
✔ 프로그램 기본 설명
초보 시작법(詩作) 및 합평 클래스입니다.
매주 1회 5주 동안 시에 대해 이해하고 시 쓰는 법의 기초를 다집니다.
1주차부터 시 쓰기 과제가 있고, 2주차부터 시 합평이 있습니다.
수업이 끝나면 합평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✔ 추천 대상
시 쓰는 법, 시 쓰기의 기초를 다지고 싶은 분.
시 합평을 통해 피드백 받으며 성장하고 싶은 분.
시인으로서의 감각과 가능성을 키워가고 싶은 분.
☑ 강사 시인 소개
서울대학교 대학원 현대문학 석사 과정
시집 [흔적 기관] 출간, 달아실
시 <사랑을 화장하시려거든> 수록, 주머니시 시집 [이러다 살겠어요] (시거랫11)
시 <마중> 수록(표제작), 주머니시 시집 [너는 내 손바닥 위의 작고 푸른 폐] (비타민시30)
시집 [내 시선에는 한 꺼풀의 우울이 있다] 공저
시집 [꿈을 필사하다] 출간
시를 사랑하고 또 미워하며 오랜 시간을 보내왔습니다. 모두들 시라는 장르에는 정답이 없다면서 꼭 정답이 있는 것처럼 굴잖아요. 그래서 스스로가 틀렸다는 감각을 손에 쥔 채로 내내 썼습니다. 제게도 쓴 문장들을 되짚고 되짚으며 패배감과 좌절감에 젖었던 밤들이 많답니다.
그러면서 깨달았어요. ‘옳은’ 시와 ‘틀린’ 시는 없다는 것을.
그러나 스스로의 글을 많이 들여다보고 다듬을수록 내 시는 나를 더더욱 온전히 담아내는 그릇이 되어줄 거예요.
같이 읽고 같이 써 나가요. 무언가를 정답이라 정해 놓고 등을 떠미는 대신, 옆에서 손을 잡고 같이 달려드리겠습니다.
각자의 속도에 발을 맞춰서요.
✔ 작가 페이지 + 클래스보드
▪ 작가 페이지에서 강사 작가의 인터뷰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.
▪ 본 클래스는 함께 소통하는《클래스보드》를 활용합니다. 클래스보드를 둘러보세요.
김진솔 작가 [소개 + 인터뷰] 시시시작 2기 [클래스 보드]
☑ 강의 커리큘럼
✔ 프로그램 방향성
초보 시작법(詩作) 및 합평 클래스입니다.
매주 1회 5주 동안 시에 대해 이해하고 시 쓰는 법의 기초를 다집니다.
1주차부터 시 쓰기 과제가 있고, 2주차부터 시 합평이 있습니다.
수업이 끝나면 합평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✔ 프로그램 참여 시 얻을 수 있는 점
함께 시를 쓰고 합평할 수 있습니다.
여러 詩를 함께 감상하고 시적 감각을 넓힐 수 있습니다.
시의 장르에 대해 함께 알아봅니다.
시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
✔ 강의 일정 및 세부 내용
* 사전 준비물 - 자신이 좋아하는 시 한 편과 이유
1강 - 시 만져보기
시詩란 어떤 장르인가?
시인, 문장을 가다듬으며 숨쉬는 사람들 : 누구의 이름 뒤에 시인이라는 말이 붙을 수 있을까?
작품 읽기 :「시작법을 위한 기도」(박현수)
가장 좋아하는 시 소개하며 내 얘기 나누기
*과제 - 자유주제 자작시 1편 쓰기
2강 - 시 흉내 내기
슬픔이나 외로움 같은 것들을 넌지시 들여다보기 : 우리는 어쩌다가, 왜 하필이면, 시를 쓰기로 마음먹었나
무기명 자작시 합평
작품 읽기 :「망사인간」(오상룡)
* 과제 - 시제 '여름'으로 자작시 한 편 쓰기
3강 - 시 냄새 맡기
시의 분위기를 짓는 시어를 찾는 법
시어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문장 짓기 연습
무기명 자작시 합평
작품 읽기 :「수박향, 은어」(이은규)
* 과제 - 시제 '병'으로 자작시 한 편 쓰기
4강 - 시로 건물 짓기
비유와 상징을 통해 시의 구조 파악하기
무기명 자작시 합평
작품 읽기 :「소금 엽서」(김수우)
* 과제 : 시제 '시'로 자작시 한 편 쓰기
5강 - 시 위에서 시를 보기
시에 대한 시, 메타시에 대하여
무기명 자작시 합평
작품 읽기 :「이십일 세기 천지창조」(김진솔)
* 클래스 마무리 - 멈추지 않고 쓸 시인들을 위하여
* 무기명 자작시 합평은 문우들의 자작시에 대해서 자신의 감상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여 나누는 시간입니다.
* 수업이 끝나면 합평문을 전달합니다.
* 강의 진행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.
☑ 프로그램 참여 방법
✔ 진행 방법
▪ 비대면 15명 (선착순 신청)
✔ 진행 장소
▪비대면 : 본 과정은 화상 미팅 줌(Zoom) 플랫폼을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합니다.
▪PC 및 모바일 기기에 Zoom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.
▪접속 정보는 클래스 개강 전 별도 안내 드립니다.
✔ 진행 시간
▪ 4.23(수) ~ 5.21(수) 까지 매주 수요일
▪ 저녁 7시30분 ~ 9시30분 (2시간)
✔ ️참여 순서
(1) 프로그램 신청/접수
(2) 프로그램 신청 및 접수가 완료되면 메일이 발송돼요
(3) 프로그램 개시일 약 2~3일 전에 진행 여부가 결정돼요. (최소 인원 미충족시 연기되거나 취소될 수 있어요 / 변동 시 개별 안내드려요.)
(4) 프로그램 1회차 진행 전 문자 안내를 드려요.
(5) 프로그램 당일 진행 장소와 방법으로 늦지 않게 참여해 주세요.
✔ 유의 사항
📌 프로그램 신청 전 CHECK
프로그램 참여 정원은 선착순 마감입니다.
참여자 수가 프로그램 진행 최소 인원에 모자라는 경우 일정을 연기하거나 취소될 수 있습니다.
프로그램 진행 개시 여부는 개시일 전 약 2~3일 전에 결정됩니다.
연기 또는 취소 시 개별 연락드립니다.
신청 전 환불 규정을 확인 후 신청해 주세요.
📌 프로그램 참여 시 CHECK
진행 날짜/시간은 잊지 말고 반드시 지켜주세요!
PC나 모바일 기기에 줌(Zoom) 프로그램을 미리 설치해 주세요.
참여자의 활발한 참여가 클래스의 수준과 질을 높일 수 있어요.
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참여해 주세요.
프로그램 진행 시 무단 촬영, 캡쳐, 녹음 등 및 타인과 공유 시 저작권법에 위배됨을 알려드립니다.
📌 취소/환불 규정
취소/환불 정책을 확인 후 신청해 주세요.
홈페이지 하단의 <취소환불규정>을 클릭하여 확인해 주세요.
* 개강 이후 취소 신청은 별도 연락 주세요(02-6052-1500)
시시시작(詩詩詩作) 프로그램에 참여하면,
작가의 이야기를 틔우는 곳
위올라잇
진 행 | 김진솔 시인 / 서울대학교 현대문학 석사 과정 |
일 정 | 2025. 4. 23(수) ~ 2025. 5. 21(수) |
시 간 | 매주 수요일 저녁 7시30분 ~ 9시30분 (5회) |
장 소 | 비대면 (Zoom 온라인 Live 진행), 별도 안내 |
인 원 | 최대 15명 |
☑ 프로그램 소개
초보 시 쓰기·합평 클래스, 시시시작(詩詩詩作) 2기
✍️ 시 쓰기, 시 쓰는 법 기초를 배우고 싶다면, 함께해 보세요.
👉 시 낭독, 시 합평을 통해, 함께 시적 감각을 나눕니다.
👉 시 쓰기와 합평을 병행합니다. 강의 진행에 클래스보드를 활용합니다.
✔ 프로그램 기본 설명
초보 시작법(詩作) 및 합평 클래스입니다.
매주 1회 5주 동안 시에 대해 이해하고 시 쓰는 법의 기초를 다집니다.
1주차부터 시 쓰기 과제가 있고, 2주차부터 시 합평이 있습니다.
수업이 끝나면 합평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✔ 추천 대상
시 쓰는 법, 시 쓰기의 기초를 다지고 싶은 분.
시 합평을 통해 피드백 받으며 성장하고 싶은 분.
시인으로서의 감각과 가능성을 키워가고 싶은 분.
☑ 강사 시인 소개
서울대학교 대학원 현대문학 석사 과정
시집 [흔적 기관] 출간, 달아실
시 <사랑을 화장하시려거든> 수록, 주머니시 시집 [이러다 살겠어요]
시 <마중> 수록(표제작), 주머니시 시집 [너는 내 손바닥 위의 작고 푸른 폐]
시집 [내 시선에는 한 꺼풀의 우울이 있다] 공저
시집 [꿈을 필사하다] 출간
시를 사랑하고 또 미워하며 오랜 시간을 보내왔습니다. 모두들 시라는 장르에는 정답이 없다면서 꼭 정답이 있는 것처럼 굴잖아요. 그래서 스스로가 틀렸다는 감각을 손에 쥔 채로 내내 썼습니다. 제게도 쓴 문장들을 되짚고 되짚으며 패배감과 좌절감에 젖었던 밤들이 많답니다.
그러면서 깨달았어요. ‘옳은’ 시와 ‘틀린’ 시는 없다는 것을.
그러나 스스로의 글을 많이 들여다보고 다듬을수록 내 시는 나를 더더욱 온전히 담아내는 그릇이 되어줄 거예요.
같이 읽고 같이 써 나가요. 무언가를 정답이라 정해 놓고 등을 떠미는 대신, 옆에서 손을 잡고 같이 달려드리겠습니다.
각자의 속도에 발을 맞춰서요.
✔ 작가 페이지 + 클래스보드
▪ 작가 페이지에서 강사 작가의 인터뷰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.
김진솔 작가 [소개 + 인터뷰]
▪ 본 클래스는 함께 소통하는《클래스보드》를 활용합니다. 클래스보드를 둘러보세요.
시시시작 2기 [클래스보드]
☑ 강의 커리큘럼
✔ 프로그램 방향성
초보 시작법(詩作) 및 합평 클래스입니다.
매주 1회 5주 동안 시에 대해 이해하고 시 쓰는 법의 기초를 다집니다.
1주차부터 시 쓰기 과제가 있고, 2주차부터 시 합평이 있습니다.
수업이 끝나면 합평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✔ 프로그램 참여 시 얻을 수 있는 점
함께 시를 쓰고 합평할 수 있습니다.
여러 詩를 함께 감상하고 시적 감각을 넓힐 수 있습니다.
시의 장르에 대해 함께 알아봅니다.
시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
✔ 강의 일정 및 세부 내용
* 사전 준비물 - 자신이 좋아하는 시 한 편과 이유
1강 - 시 만져보기
시詩란 어떤 장르인가?
시인, 문장을 가다듬으며 숨쉬는 사람들 : 누구의 이름 뒤에 시인이라는 말이 붙을 수 있을까?
작품 읽기 :「시작법을 위한 기도」(박현수)
가장 좋아하는 시 소개하며 내 얘기 나누기
*과제 - 자유주제 자작시 1편 쓰기
2강 - 시 흉내 내기
슬픔이나 외로움 같은 것들을 넌지시 들여다보기 : 우리는 어쩌다가, 왜 하필이면, 시를 쓰기로 마음먹었나
무기명 자작시 합평
작품 읽기 :「망사인간」(오상룡)
* 과제 - 시제 '여름'으로 자작시 한 편 쓰기
3강 - 시 냄새 맡기
시의 분위기를 짓는 시어를 찾는 법
시어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문장 짓기 연습
무기명 자작시 합평
작품 읽기 :「수박향, 은어」(이은규)
* 과제 - 시제 '병'으로 자작시 한 편 쓰기
4강 - 시로 건물 짓기
비유와 상징을 통해 시의 구조 파악하기
무기명 자작시 합평
작품 읽기 :「소금 엽서」(김수우)
* 과제 : 시제 '시'로 자작시 한 편 쓰기
5강 - 시 위에서 시를 보기
시에 대한 시, 메타시에 대하여
무기명 자작시 합평
작품 읽기 :「이십일 세기 천지창조」(김진솔)
* 클래스 마무리 - 멈추지 않고 쓸 시인들을 위하여
* 무기명 자작시 합평은 문우들의 자작시에 대해서 자신의 감상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여 나누는 시간입니다.
* 수업이 끝나면 합평문을 전달합니다.
* 강의 진행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.
☑ 프로그램 참여 방법
✔ 진행 방법
▪ 최대 15명 (선착순 신청)
✔ 진행 장소
▪비대면 : 본 과정은 화상 미팅 줌(Zoom) 플랫폼을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합니다.
▪PC 및 모바일 기기에 Zoom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.
▪접속 정보는 클래스 개강 전 별도 안내 드립니다.
✔ 진행 시간
▪ 4.23(수) ~ 5.21(수) 까지 매주 수요일
▪ 저녁 7시30분 ~ 9시30분 (2시간)
✔ ️참여 순서
(1) 프로그램 신청/접수
(2) 프로그램 신청 및 접수가 완료되면 메일이 발송돼요
(3) 프로그램 개시일 약 2~3일 전에 진행 여부가 결정돼요. (최소 인원 미충족시 연기되거나 취소될 수 있어요 / 변동 시 개별 안내드려요.)
(4) 프로그램 1회차 진행 전 문자 안내를 드려요.
(5) 프로그램 당일 진행 장소와 방법으로 늦지 않게 참여해 주세요.
✔ 유의 사항
📌 프로그램 신청 전 CHECK
프로그램 참여 정원은 선착순 마감입니다.
참여자 수가 프로그램 진행 최소 인원에 모자라는 경우 일정을 연기하거나 취소될 수 있습니다.
프로그램 진행 개시 여부는 개시일 전 약 2~3일 전에 결정됩니다.
연기 또는 취소 시 개별 연락드립니다.
신청 전 환불 규정을 확인 후 신청해 주세요.
📌 프로그램 참여 시 CHECK
진행 날짜/시간은 잊지 말고 반드시 지켜주세요!
PC나 모바일 기기에 줌(Zoom) 프로그램을 미리 설치해 주세요.
참여자의 활발한 참여가 클래스의 수준과 질을 높일 수 있어요.
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참여해 주세요.
프로그램 진행 시 무단 촬영, 캡쳐, 녹음 등 및 타인과 공유 시 저작권법에 위배됨을 알려드립니다.
📌 취소/환불 규정
취소/환불 정책을 확인 후 신청해 주세요.
홈페이지 하단의 <취소환불규정>을 클릭하여 확인해 주세요.
* 개강 이후 취소 신청은 별도 연락 주세요(02-6052-1500)
시시시작(詩詩詩作) 프로그램에 참여하면,
작가의 이야기를 틔우는 곳
위올라잇